본문 바로가기
주식/Daily 증시

2019.02.07 증시현황

by 인생2막은 EnJoY 2019. 2. 7.
반응형

2019.02.07(목)

미국증시 : 연휴기간 상승랠리, 국정연설 실망감과 실적우려에 하락 마감

국내증시 : 설연휴 이후 외국인 매수세 유지, 코스피 보합, 코스닥 상승 마감

1. 뉴욕 증시

 

지난밤 뉴욕증시는 5일간의 상승 랠리가 트럼프대통령의 국정연설 실망감과 올해 상반기 실적에 대한 우려로 하락 마감하였습니다. 다우산업지수는 듀폰과 캐터필러등이 약세를 보이면서 21.22(-0.08%)포인트 하락한 25,390.30포인트로, 나스닥종합지수는 알파벳을 제외한 대형기술주(FAANG)들의 약세에 26.80(-0.36%)포인트 하락한 7,375.28포인트로, S&P500지수는 기술주들이 약세를 보이면서 6.09(-0.22%)포인트 하락한 2,731.61포인트로 장을 마감하였습니다.

 

지난 밤 트럼프 대통령은 워시턴DC에 있는 연방의회에서 약90여분간 국정연설을 진행하였으며 당초 미중 무역협상 타결에 대한 긍정적인 시그널을 기대하였으나 별다른 내용이 없이 마무리되면서 시장은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그리고 시장조사업체 '팩트셋'에 의하면 현재까지 S&P500지수에 편입된 종목 중 55%가 2018년 실적을 공개, 68%가 시장 전망치를 뛰어 넘었지만 올해 상반기 실적에 대한 우려감에 투자심리는 악화 시켰습니다.

 

 

달러가치는 증권시장의 상승랠리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국제금값은 달러 강세에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나 미연방정부의 셧다운 재현에 대한 우려에 추가 하락을 저지하였습니다. 국제유가(WTI)는 미국의 원유 재고가 시장의 예상보다 적게 늘어났다는 소식에 이틀만에 반등에 성공하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연설 내용이 자신에 의한 성과를 강조하고 멕시코국경장벽 건설을 강조하며 민주당을 압박하는 한 편 미국 우선주의를 위한 무역정책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였지만 시장의 반응은 냉랭하였습니다. 하지만 미국내 인프라 사업 진행, 헬스케어 비용 절감 및 북미정상회담 개최등은 시장에 긍정적인 요소로 볼 수 있겠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국정연설] 자신의 성과 강조와 이민, 무역정책에 대한 지지 촉구(Feat. 2차북미정상회담)

 

2. 국내증시

 

금일 국내증시는 아시아 주요지수들이 휴장한 속에 큰 움직임 없이 외국인의 매수세에 코스피는 보합, 코스닥은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코스피지수는 삼성전자는 하락, SK하이닉스는 상승세를 보이면서 0.04(0.00%)포인트 하락한 2,203.42포인트로, 코스닥지수는 남북경협주와 핸드폰 관련주들의 상승세에 힘입어 11.98(1.66%)포인트 상승한 728.79포인트로 장을 마감하였습니다.

 

오늘도 외국인은 양시장에서 강한 매수세를 보였습니다. 코스피 수급현황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1,608억원, 692억원을 순매수, 기관계는 2,507억원을 순매도하였으며, 연기금은 약 270억원 순매도세를 보였습니다, 코스닥 수급현황외국인과 기관계가 각각 1,612억원, 553억원을 순매수, 개인이 2,149억원을 순매도하였으며, 연기금은 약 300억원 순매수세를 보였습니다.

 

금일 특징주로는 트럼프대통령의 국정연설을 통해 북미정상회담 일정과 장소가 언급됨에 따라 오르비텍(16.14%), 우리기술(14.02%), 대명코퍼레이션(12.13%), 삼륭물산(6.82%), 광명전기(5.05%)등의 남북경협주들이 강세를 보였으며 오랜기간 상승하지 못했던 인터플랙스(15.63%), 덕산네오룩스(10.26%), KH바텍(9,80%), 비에이치(9.58%), SKC코오롱PI(8.01%), 원익큐브(5.96%), 파트론(2.73%)등의 핸드폰 부품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테마분석]남북경협주 - 2차 북미정상회담 기대!!

[테마분석]남북경협주 2탄 - 2차북미정상회담 확정!!

 

내일까지 중국과 홍콩등의 아시아 주요증시들이 휴장이기에 국내증시는 큰 변동성 없는 움직임이 예상되고 있으며 오랜기간 외국인의 강한 매수세에 상승세를 유지하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짧은 조정기에 들어서면 국내증시도 조정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제 북미정상회담 일정이 확정되면서 많은 남북경협주들이 강한 움직임을 보일 수 있지만 미국과 북한의 실무진 협상 현황과 문재인정부의 중재역할을 줄 주시하며 종목에 대응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주식 > Daily 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02.11 증시현황  (0) 2019.02.11
2019.02.08 증시현황  (0) 2019.02.08
2019.02.01 증시현황  (0) 2019.02.01
2019.01.31 증시현황  (0) 2019.01.31
2019.01.30 증시현황  (0) 2019.01.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