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Daily 증시

2018.10.29 증시현황

by 인생2막은 EnJoY 2018. 10. 29.
반응형

2018.10.29

금융위, 자본시장 안정화 자금 5천억원 조성 불구, 국내증시 폭락

1. 뉴욕증시 및 주요 시장지표

다우존스 

 24.688.31

-296.24

 -1.19%

 나스닥

7,167.21

-151.12

 -2.06%

 S&P500

2,658.69

-46.88

-1.73%

 Phil. 반도체

 1,153.00

-20.21

-1.72%

달러인덱스

96.12

-0.33

-0.34%

 유가(WTI)

 67.59

0.26

0.38%

 국제금

1,232.50

3.40

0.27%

 미국채(10년)

 3.12%

-

 -

 

 

지난 주 금요일, 뉴욕증시는 대형IT주들의 실적 부진에 의해 3대지수는 다시 하락하였습니다. 다우지수는 장중 최대 539포인트까지 밀렸지만 296.24(-1.19%)포인트 하락한 24,688.31포인트로 장을 마감하였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은 대표 대형 기술주인 FAANG종목들이 큰폭으로 급락하며 장중 3%대까지 급락하였으나 151.12(-2.96%)포인트 하락한 7,167.21포인트로 장을 마감하였고, S&P500은 46.88(-1.73%)포인트 하락한 2,658.69포인트로 장을 마감하였습니다.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3분기 3.5%로 시장전망치 3.4%를 상회하였고, 개인소비지출(PCE)은 3분기에 4%증가하면서 2014년 4분기 이후 4년만에 최고치를 갱신하였으나 아마존과 알파벳이 이날 시장전망치를 상회하는 순이익을 발표했지만, 매출이 시장전망치를 밑돌면서 경제지표의 상승분 상쇄하며 주요 지수들을 급락시켰습니다.

 

달러는 소폭 하락하였으며 국제금은 달러 약세와 안전자산 선호에 의해 소폭 상승 마감하였으며, 유가도 소폭 상승 마감하였습니다.

 

매번 언급되는 사항이지만 미국증시는 다른 나라의 지수와 다르게 2018년 상승장의 모습을 보였으나, 이제 이러한 추세는 꺽이고 하락추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의 우량기업들의 실적부진과 금리인상에 대한 두려움, 유럽에서 이탈리아 예산안 갈등과 브렉시트 협상 난조, 사우디아라비아 반체제 언론인 살해 사건, 그리고 글로벌 경제성장의 둔화등의 여러 악재들은 아직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2. 국내 증시

 

 

 

지난 주 뉴욕증시가 1~2%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증시는 장초반 외국인과 기관계의 동반 매수세에 힘입어 오랜만에 상승하는 듯 하였으나 금방 하락세로 돌아서며 결국에는 큰폭으로 하락하며 마감하였습니다. 금일 코스피는 31.10(-1.53%)포인트 하락한 1,996.05포인트로 장을 마감하였으며, 코스닥은 무려 33.37(-5.03%)포인트로 큰폭으로 하락하며 629.70포인트로 장을 마감하였습니다.

 

금일 금융위는 자본시장 안정화를 위해 스케일업펀드 3,000억원을 포험 불법 공매도 등 불공정행위를 엄중 처벌 할 것을 발표하였으며, 오랜만에 양대 지수에서 연기금이 순매수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개인들의 반대매매 물량과 공포심리에 의한 매도세는 소화하기에는 역부족이였습니다. 금일 코스피는 외국인과 개인이 각각 1,607억원, 4,874억원을 순매도하였으며 기관계는 6,362억원을 순매수하였으며 코스닥은 외국인과 기관계가 각각 1,049억원, 1,899억원을 순매수하였으나 개인들의 매도 물량에 큰 폭으로 하락 마감하였습니다. 선물 거래에서 외국인은 금일 2,825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속적으로 순매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금일 코스피는 결국 2,000포인트를 내어주며 매도세가 증가하였으며 1950선을 위협하는 추세가 만들어졌으며, 코스닥은 여전히 바닥을 예측하기 어려우나 이제는 580선까지 열어 있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코스피 우량기업들의 총 영업이익이 2007년 60조원이였으며 코스피 지수는 2,000포인트 선이였습니다. 하지만 2018년에는코스피 우량기업들의 영업이익은 200조원으로 무려 3배정도 상승하였으나 지수는 2,000포인트 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만큼 국내 상장사들은 양질의 성장을 하였으나 공포지수에 의해 지수 폭락과 함께 거의 대부분의 종목들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국내증시는 연일 최저가를 갱신하며 마감하였습니다. 계속 언급하는 바와 같이 11/6 미국 중간 선거 전까지는 변동성이 강한 시장이 이어지겠으며 상승하는 모습이 포착되면 현금화를 하는 전략이 반드시 필요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주식 > Daily 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10.31 증시현황  (0) 2018.10.31
2018.10.30 증시현황  (0) 2018.10.30
2018.10.26 증시현황  (0) 2018.10.26
2018.10.25 증시현황  (0) 2018.10.25
2018.10.24 증시현황  (0) 2018.10.2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