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9월24일, 문재인 대통령은 평양을 방문한 뒤 UN총회가 한창 진행 중인 미국으로 향해 트럼프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가집니다. '한미 정상회담'은 남한과 북한의 평양공동선언문을 바탕으로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중요한 회담이며 이에 관련 기사들이 다수 보도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보도된 기사들의 긍정적인 내용에도 불구하고 아쉽게도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도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대부분의 기사들은 문재인 대통령의 모두 발언 중 " 북한, 핵포기 되돌릴 수 없을 만큼 공식화" 했다는 내용을 언급하고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중 "빠른 시일내, 북미 정상회담 장소 협의"를 언급하고 있어 '남북경협주"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꺼라 판단 할 수 있지만, 앞서 언급 드린바와 같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어떠한 구체적인 내용도 두 정상의 모두 발언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김정은 위원장의 문재인 대통령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하고자 한 내용은 잘 전달 되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두 정상의 모두 발언 기사
이제 '한반도 비핵화'는 다시 미국의 국무부 장관, 마이크 폼페이오의 손으로 넘어가게 되었습니다. 이제 북한의 실무자인 리용호 북한외무상과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장관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어떠한 움직임을 가지느냐에 달렸습니다.
현재 뉴욕에서 진행되는 UN총회에서 리용호 외무상과 폼페이오 장관이 공식적으로 만남을 가지거나, 폼페이오 장관의 4차 방북을 통해 북한과 미국간의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방안이 현실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바와 같이, 빠른 시일내로 '북미정상회담'을 가지고 두 정상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긍정적인 합의를 이뤄낸다면 '남북경협주'는 물론 오랜기간 국내 증시를 억눌러온 한반도의 지정학적 리스크를 해소하여 코스피와 코스닥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될 것입니다.
'주식 > 주요 경제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락하는 국내증시와 과거사례 2탄 (2008년 금융위기와 현재) (0) | 2018.10.30 |
---|---|
폭락하는 국내증시와 과거 사례 (0) | 2018.10.26 |
누구나 쉽게 이해 할 수 있는 미중 무역 전쟁의 간단한 정리 (0) | 2018.10.24 |
[한반도 비핵화 3탄] 10/7 폼페이오 장관 4차 방북 (0) | 2018.10.17 |
[한반도 비핵화 1탄] 9/19 평양선언과 남북경협주 (0) | 2018.10.16 |
댓글